* 옛글닷컴ː명언명구/사전

하늘구경  

 

 

 

 

정고몽【丁固夢】정고(丁固)의 꿈에 소나무가 배[腹] 위에 났다. 해몽(解夢)하는 사람이 말하기를, “송(松)은 십팔공(十八公)이니, 십팔년 후에 공(公)이 될 것이다.” 하였다.

정고옥【鄭古玉】고옥은 중종~선조 때의 학자인 정작(鄭碏)의 호. 그는 술을 즐겨 주선(酒仙)이라 불려졌고, 시와 글씨에도 능했음.

정곡【鄭谷】한(漢) 나라 정자진(鄭子眞)이 은둔해 살았던 곡구(谷口)를 말한다. 정자진은 수도묵수(修道墨守)하면서 권세가인 대장군 왕봉(王鳳)의 예빙(禮聘)에도 일체 응하지 않았던 사람으로 곡구자진(谷口子眞)으로 일컬어졌다. 《漢書 卷72ㆍ高士傳 中》

정곡공신【正哭功臣】중종 때 이 곤(李坤)이 자신에게 공이 있음을 울며 호소하여 공신에 참여되었다 하여 그 사람을 가리켜 한 말.

정공【鄭公】당 태종의 신하 위징(魏徵)인데, 그의 봉호(封號)가 정국공(鄭國公)이다. 그는 직간(直諫)으로 유명하였다.

정공【鄭公】선정(善政)을 베푸는 지방관을 가리키는 말이다. 북제(北齊)의 정술조(鄭述祖)가 그 아비의 뒤를 이어 지방에서 훌륭한 정사를 펼치자, 사람들이 “그 대정공에 그 소정공이로다. 세월은 오십 년 흘렀어도 풍교는 어찌나 똑같은지.[大鄭公 小鄭公 相去五十載 風敎猶尙同]”라고 노래한 고사에서 유래하여, 정공이 군수(郡守)의 별칭으로 되었다. 《北齊書 卷29 鄭述祖列傳》

정공【正供】정공은 정식으로 조정에 바치는 공물이라는 뜻이다.

정공경개【程公傾盖】가어(家語)에 “공자가 정자(程子)와 길에서 만나 일산을 기울이고 말씀하였다[孔子遇程子於途 傾蓋而語].” 하였다.

정공논점십【鄭公論漸十】정공은 당(唐) 나라 위징(魏徵)이 정국공(鄭國公)에 봉하여졌으므로, 그를 지칭한 것이다. 그는 열 가지 조짐에 대해 깊이 생각할 것을 열거하여 당 태종(唐太宗)에게 상소하였다. 십점지소(十漸之疏). 《唐書 卷七十七》

정공수채범저망【鄭公遂採范雎亡】위(魏)의 범저(范雎)가 중대부(中大夫) 수가(須賈)의 중상으로 위 나라 공자(公子) 위제(魏齊)에게 매를 맞고 거짓 죽어 나와, 뒤에 정안평(鄭安平)의 도움으로 변성명을 하고 진(秦) 나라로 망명할 수가 있었음. 《史記 卷79》

정공향【鄭公鄕】한나라 말년의 유명한 학자인 정현(鄭玄)이 있었는데, 그 때에 황건적(黃巾賊)의 난리가 나서 온 세상이 들끓었는데, 그 황건적들이 정현이 사는 마을 앞에 와서 이 마을은 정공(鄭公)이 사는 마을이니 들어가지 말라고 하였다 한다.

정공향【鄭公鄕】후한 때 공융(孔融)이 경학자(經學者)인 정현(鄭玄)이 사는 마을을 특별히 ‘정공향’이라 명명한 데서 온 말인데, 정현의 집에는 계집종들도 시경(詩經)을 잘 알아서 보통 대화할 때에 시경의 구절을 척척 인용하였다 한다.

정과정【鄭苽亭】고려 의종(毅宗) 때 정서(鄭敍)가 죄 없이 참소로 동래(東萊)에 귀양가서 임금을 그리워하여 거문고를 타고 슬피 노래한 곡조. 《高麗史 樂志》

정과정곡【鄭瓜亭曲】고려 의종 때에 정서(鄭叙)가 동래(東萊)로 귀양가 있으면서 임금을 생각하여 비파를 탔는데, 그 곡조를 정과정곡(鄭瓜亭曲)이라 한다. 과정(瓜亭)은 정서의 호(號)다.

 

10/20/30/40/50/60/70/80/90/100/10/20/30/40/50/60/70/80/90/200/1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

 

 

www.yetgle.com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