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옛글닷컴ː명언명구/사전

하늘구경  

 

 

 

 

취발구자【吹髮求疵】상처를 찾으려고 털을 불어 헤친다는 말. 즉 억지로 남의 조그마한 허물을 들추어내는 것을 말한다.

취방【臭芳】취는 악명(惡名)을 뜻하고 방은 훌륭한 명성을 뜻한 것으로, 고사성어고(故事成語考)에 의하면, 선(善)을 하면 좋은 명성[芳]을 백세에 남기고, 악(惡)을 하면 만세에 악명[臭]을 남긴다고 하였다.

취백【醉白】취한 이태백(李太白)이라는 말이다. 송(宋) 나라 한기(韓琦)의 당호(堂號)가 취백당(醉白堂)이었는데, 그 기문(記文)을 쓴 소동파(蘇東坡)의 ‘한위공취백당기(韓魏公醉白堂記)’가 전한다.

취백【翠柏】푸른 잣[翠柏]. 즉 도가(道家)에서 복식(服食)하는 장생불사의 약. 두보(杜甫)의 시에, “푸른 잣은 떫어도 먹는다지만, 밝은 놀로 밥을 어찌 짓겠는가?[翠柏苦猶食 明霞詎堪餐]" 하였다. 《杜少陵集 卷二 冬日洛城北謁玄元皇帝廟》

취법어상근득중【取法於上僅得中】위로 높은 것을 본받아도 중(中)밖에 안 되는데, 그 아래로 본을 뜨면 무엇이 되겠는가 한 옛말이 있다.

취봉노자【鷲峯老子】석가모니(釋迦牟尼)를 말한다. 영취산(靈鷲山)은 인도 마가타국(摩揭陀國) 왕사성(王舍城)에 있는 산 이름으로, 여기에서 석가가 법화경(法華經) 등을 설했다고 한다.

취부신기【臭腐神奇】시비(是非)와 미추(美醜)도 사람의 호오(好惡)에 따라 뒤바뀌게 된다는 말이다. 장자(莊子) 지북유(知北遊)에 “좋게 여기는 것을 신기(神奇)하다고 하고, 나쁘게 여기는 것을 취부(臭腐)하다고 하는데, 취부가 변화하면 곧잘 신기가 되고, 신기는 또다시 취부로 바뀌곤 한다. 그러므로 온 천하가 일기(一氣)일 뿐이다.”라는 말이 있다. 취부는 냄새가 나게 썩은 것을 말함.

취부역신기【臭腐亦神奇】장자(莊子) 지북유(知北遊)의 “아름답게 여기는 것은 신기함이고 싫어하는 것은 악취와 썩은 것인데, 악취와 썩은 것이 다시 신기한 것으로 변하고 신기한 것이 다시 악취와 썩은 것으로 변한다.”에서 나온 것으로, 자연의 이치로 볼 때 죽은 것이나 사는 것이 다 마찬가지라는 것이다.

취부용【翠芙蓉】취부용은 산빛을 뜻한다.

취부즉신기【臭腐卽神奇】장자(莊子) 지북유(知北遊)의 “자기가 아름답게 보는 것은 신기하게 여기고 자기가 증오하는 것은 썩은 것으로 여기는데, 썩은 것이 다시 변해 신기한 것이 되고 신기한 것이 다시 변해 썩은 것이 되기도 한다. 그러므로 천하를 고르게 하는 것은 하나의 기(氣)인 것이다.”에서 나온 것으로, 인생의 부귀 빈천은 큰 안목으로 볼 때 똑같다는 것이다.

취부타갱【翠釜駝羹】맛 좋은 식품 이름. 낙타 등 위의 봉우리 살로 만든 요리. 취부타봉(翠釜駝峯). 《琵琶記 春宴杏園》

취사선택【取捨選擇】취할 것과 버릴 것을 가림. 여러 가지 중에서 쓸 것은 쓰고, 버릴 것은 버려서 골라 잡음

취산【聚散】모였다 흩어지는 것으로 사람이 만났다가 헤어짐을 말한다.

취생몽사【醉生夢死】술에 취한 듯이 살다가 꿈을 꾸듯이 죽음. 아무 뜻도 없고, 이룬 일도 없이 한평생을 흐리멍텅하게 살아감.

취석【翠石】양홍정(楊弘貞)이 백락천(白樂天)에게 푸른 돌 셋을 선사하였다.

취석【醉石】여산(廬山) 앞을 흐르는 강물 가운데 반석이 있는데, 도연명이 취하여 이 바위에 누워 잤다 하여 연명취석(淵明醉石)이라 한다. 《朱子語類 卷一百三十八》

취선【翠扇】취선은 청색으로 도장(塗裝)한 궁문(宮門)을 가리킨다.

 

10/20/30/40/50/60/70/80/90/100/10/20/3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

 

 

www.yetgle.com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