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옛글닷컴ː명언명구/사전

하늘구경  

 

 

 

 

전로【電露】금강경(金剛經) 응화비진분(應化非眞分)에 “일체 유위법(有爲法)은 꿈과 같고 허깨비와 같고 물거품과 같고 그림자와 같으며, 또 이슬방울과 같고 번갯불과 같다.[如露亦如電]”는 말이 나온다.

전룡【錢龍】큰 뱀을 말하는데, 용(龍)의 일종이라고도 한다.

전륵【鈿勒】자개를 박아서 만든 의자.

전모【典謨】전은 서경(書經)의 요전(堯典)ㆍ순전(舜典)이며, 모는 대우모(大禹謨)ㆍ고요모(皐陶謨)ㆍ익직(益稷) 등의 편을 가리킨다. 이것은 내용이 모두 제왕의 도리와 치국(治國)의 대도(大道)를 논하였다. 일반의 경전(經傳)을 말하기도 한다.

전모급명고【典謨及命誥】서경(書經)을 읽어보면 정치하는 방법이 빈틈없이 나왔다는 뜻. 전은 요전ㆍ순전을 말하고, 모(謨)는 대우모(大禹謨)ㆍ고요모(皐陶謨) 등을 말하고, 명(命)은 열명(說命)을 말하고, 고(誥)는 중훼지고(仲虺之誥)ㆍ탕고(湯誥) 등을 말한다.

전목재【錢牧齋】목재는 청(淸) 나라 학자 전겸익(錢謙益)의 호이다. 그는 특히 문장(文章)으로 청 나라 당대에 크게 이름을 날렸고, 초학집(初學集)ㆍ유학집(有學集) 등 많은 저서를 남겼다.

전무후무【前無後無】그전에도 없었고 앞으로도 없음.

전문감풍생【田文感馮生】전문(田文)은 전국 시대 제(齊) 나라의 정승이었던 맹상군(孟嘗君)의 이름이다. 천하의 현사(賢士)를 초청하여 식객(食客)이 3천 인을 넘었는데, 실권(失權)을 하자 그들 모두가 그 곁을 떠나갔다. 뒤에 다시 복권(復權)이 되었을 때 맹상군이 이를 한스럽게 여겨 “다시 찾아오는 사람이 있으면 얼굴에 침을 뱉어 주겠다.”고 하였는데, 풍환(馮驩)이 “부귀해지면 선비들이 많이 모여들고 빈천해지면 친구도 적어지는 것은 사리로 볼 때 당연한 일이다.”고 하면서 시장 거리의 사람들을 예로 들어 설명하자, 맹상군이 감복을 하여 선비를 잘 대접했다고 한다. 《史記 卷75》

전문루적【田文淚滴】전문(田文)은 제(齊) 나라 맹상군(孟嘗君)이다. 제 나라 옹문에 살았던 옹문자주(雍門子周)는 본디 금곡(琴曲)에 뛰어나서 그가 거문고를 가지고 자기 마음대로 사람을 울리기도 하고 웃기기도 했는데, 그가 일찍이 맹상군 앞에서 인생의 부귀영화가 덧없음을 소재로 하여 거문고를 한 곡조 타니, 맹상군이 슬퍼서 눈물을 줄줄 흘렸다는 고사에서 온 말이다. 《說苑 善說》

전문체련【田文涕漣】전문(田文)은 제(齊) 나라 맹상군(孟嘗君)의 성명. 옹문주(雍門周)라는 사람이 거문고를 타면서 부귀 공명의 무상함을 슬피 노래하자, 맹상군이 비상(悲傷)하여 눈물을 흘렸다는 고사에서 온 말이다. 《說苑 善說》

전반향【篆盤香】향(香)을 전자(篆字)처럼 만들어서 12시 백각(百刻)으로 하여 일주야(一晝夜)를 태운다.

전발【翦髮】개원전신기(開元傳信記)에 “귀비가 항상 말로써 임금의 비위를 거스르자 임금이 노하여 고역사(高力士)를 시켜 짐차에 태워 사가(私家)로 내보냈다. 귀비가 머리털을 베어 역사에게 주며 ‘다른 진귀한 물건은 다 임금이 주신 바이니 드릴 만한 것이 못되고, 이것은 부모에게서 받은 바이니 첩(妾)의 연모하는 뜻을 드릴 수 있다.’ 하였다. 임금이 그 머리털을 받고는 눈물을 흘리며 바로 역사를 시켜 다시 돌아오게 했다.” 하였다.

전벽【錢癖】금전에 대한 욕심이 강함을 말한다.

전복거후거계【前覆車後車戒】앞에 뒤집어 진 수레는 뒷 수레의 경계가 됨. 전인(前人)의 실패를 보고 후인(後人)은 경계 삼아야 함을 비유

전봉【轉蓬】다북쑥을 굴린다[轉蓬]는 말은 바람에 나부끼는 다북쑥을 의미한 것이다.

 

10/20/30/40/50/60/70/80/90/100/10/20/30/40/50/60/70/80/90/200/1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

 

 

www.yetgle.com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