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명언명구/사전

하늘구경 

 

 

 

 

 

 

사상【使相】감사(監司)의 별칭이다.

사상【士尙】민성휘(閔聖徽)의 자(字)이다.

사상【四象】사상은 구수(九數)의 노양(老陽), 육수(六數)의 노음(老陰), 칠수(七數)의 소양(少陽), 팔수(八數)의 소음(少陰)을 말한다.

사상【使相】상신(相臣)에 걸맞는 신분으로 군대를 감독, 지휘하는 신하를 말한다.

사상객【槎上客】뗏목을 타고 은하수를 오가는 사람으로, 사신의 임무를 잘 수행하는 사람을 뜻한다. 옛날에 은하수와 바다가 서로 통해 있어서 해마다 8월이면 시기를 놓치지 않고 뗏목을 타고 올라갔는데, 어떤 사람이 10여 일을 뗏목을 타고 가다가 한 성(城)에 이르러서 어떤 장부(丈夫)가 물가에서 소에게 물을 먹이는 것을 보고는 여기가 어디인가를 물으니, 그 장부가 답하기를, “그대가 촉군(蜀郡)에 가서 엄군평(嚴君平)을 찾아가 물어보면 알 것이다.” 하였다. 그 뒤에 촉군에 가서 엄군평에게 물으니, 답하기를, “모년 모월 모일에 객성(客星)이 견우수(牽牛宿)를 범하였다.” 하였는데, 그 날짜를 헤아려 보니 바로 그 사람이 은하수에 도착한 때였다고 한다. 《博物志 卷十》

사상누각【沙上樓閣】모래 위의 누각이라는 뜻으로, 기초가 튼튼하지 못하여 오래 견디지 못할 일이나 물건, 헛된 것을 의미함.

사상무【謝尙舞】진(晉) 나라 때 사상은 총명이 뛰어났고 음악(音樂)도 매우 잘하였는데, 사도(司徒) 왕도(王導)가 어떤 모임을 인하여 사상에게 “그대가 구욕무(鴝鵒舞)를 잘 춘다 하니, 그 춤을 좀 춰볼 수 없겠는가?" 하자, 사상이 “좋습니다.” 하고는 문득 일어서서 춤을 추었다고 한다. 《晉書 卷七十九》

사상제자【泗上弟子】사수가의 제자라는 뜻으로, 공자(孔子)가 사수(泗水)의 근처에서 제자들을 가르쳤다는 의미에서 공자의 제 자나 공자의 학파를 의미함.

사상지위【死喪之威】시경 소아(小雅) 상체(常棣)에, “죽어서 장사 지낼까 하는 두려움에, 형제간에 몹시 걱정해 준다.[死喪之威 兄弟孔懷]”하였다.

사상채【謝上蔡】이름은 양좌(良佐), 자는 현도(顯道). 그가 상채에 살았으므로 상채 선생이라 부른다. 정명도(程明道)ㆍ정이천(程伊川)에게 수학하고, 저서에는 논어설(論語說)과 상채어록(上蔡語錄)이 있음.

사상포도【槎上葡萄】한(漢) 나라 사람 장건(張騫)이 중랑장(中郞將)에 임명되어 오손(烏孫)과 대완(大宛) 등 여러 나라에 사신으로 갔다가 돌아올 적에 포도(葡萄)를 가지고 왔다. 《博物志》

사상포증가【謝相蒲增價】동진(東晋)의 명상(名相) 사안(謝安)의 포규선(蒲葵扇)으로, 시골로 가는 사람이 있어 돌아가려는 차에 사안에게 가 뵈었는데, 안(安)이 돌아갈 노자가 있느냐 물으니, 대답하기를, “포규선[부들 잎으로 만든 부채] 다섯 자루밖에 없습니다.” 하였다. 안이 그 중에서 하나를 골라 쥐니, 경향(京鄕)의 사서(士庶)들이 다투어 사서 값이 몇 배나 더 올라갔다. 《晋書 謝安傳》

사새【四鰓】농어의 별칭으로, 아가미뼈가 네 개라 하여 이른 말이다. 《本草 䲐魚》

사색지지【四塞之地】사방의 지세가 험하여 쉬이 넘보지 못할 땅.

 

10/20/30/40/50/60/70/80/90/100/10/20/30/40/50/60/70/80/90/200/10/20/30/4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

 

 

www.yetgle.com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