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명언명구/사전

하늘구경 

 

 

 

 

 

 

삼가【三加】관례 때의 가관(加冠)의 예로서, 먼저 치포관(緇布冠)을 쓰고 다음에 피변(皮弁)을 가하고 또 그 다음에 작변(爵弁)을 가하므로 이른 말이다. 《禮記 冠義》

삼가【三家】춘추 시대노(魯) 나라의 세 대부(大夫)를 말하는데, 모두 노 환공(魯桓公)의 자손이므로 삼환(三桓)이라고도 한다.

삼가례【三加禮】관례(冠禮)때 세 번 관을 갈아 씌우는 의식. 초가(初加)ㆍ재가(再加)ㆍ삼가(三加)로 나뉘는데 초가에는 단령(團領)ㆍ도아(絛兒)차림에 갓을 씌우고, 재가에는 단령 각대(角帶)차림에 사모(紗帽)를 씌우고, 삼가에는 공복(公服)차림에 복두(幞頭)를 씀.

삼가시【三家詩】한대(漢代)에 시경(詩經)을 전승해 온 삼가(三家), 곧 원고생(轅固生)이 해설한 제시(齊詩), 신배(申培)가 해설한 노시(魯詩), 한영(韓嬰)이 해설한 한시(韓詩)를 삼가시(三家詩)라 한다.

삼각【三恪】왕자(王者)가 선왕(先王)을 공경하는 뜻이다. 주 무왕(周武王)이 은(殷)을 멸한 뒤에 우(虞)ㆍ하(夏)ㆍ은(殷)의 자손을 봉(封)하여 삼각(三恪)이라 한 데서 온 말이다.

삼각【三閣】진 후주(陳後主)가 세운 임춘각(臨春閣)ㆍ결기각(結綺閣)ㆍ망선각(望仙閣)을 말한다.

삼간두옥【三間斗屋】세 칸의 썩 작은 집이라는 뜻으로, 몇 칸 안 되는 작은 오막살이집을 의미함.

삼간상【三竿上】해가 세 길쯤 올라온 오전 8시 경을 말한다.

삼간초가【三間草家】세 간이 되는 초가. 썩 작은 집.

삼강【三綱】명명덕(明明德)ㆍ신민(新民)ㆍ지어지선(止於至善)의 3강령을 말한다.

삼강【三剛】불교의 도를 깨치려면 반드시 닦아야 하는 세 가지 법으로, 계학(戒學)ㆍ정학(定學)ㆍ혜학(慧學)을 말한다. 삼학(三學).

삼강【三江】압록강(鴨綠江)의 별칭으로, 압록강이 의주 부근에서 세 갈래로 흐르므로 이렇게 부른다.

삼강【三綱】유교의 도덕사상에서 기본이 되는 세 가지 강령(綱領). 부위자강(父爲子綱), 군위신강(君爲臣綱), 부위부강(夫爲婦綱). 이 삼강(三綱)은 아버지와 자식, 임금과 신하, 남편과 아내가 마땅히 지켜할 도리이다.

삼강오륜【三綱五倫】세 가지 벼리가 되는 것과 다섯 가지 인륜. 유교 도덕의 가장 기본이 되는 원칙. 유교의 도덕사상에서 기본이 되는 세 가지 강령(綱領)과 다섯 가지 인륜. 삼강은 군위신강, 부위자강, 부위부강과 오륜은 군신유의, 부자유친, 부부유별, 장유유서, 붕우유신.

삼강칠택【三江七澤】삼강(三江)에 대해서는 설이 분분하고 칠택(七澤)은 초(楚) 나라의 일곱 연못을 말하는데, 보통 악양(岳陽)의 삼강(三江)과 운몽택(雲夢澤)을 가리킨다. 참고로 이백(李白)의 시에 “洞庭蕭湘意渺綿 三江七澤情洄沿”이라는 구절이 있다. 《李太白集 卷7 當塗趙炎少府粉圖山水歌》

삼거【三擧】세 마디의 곡(哭) 소리. 포숙아(鮑叔牙)가 관중(管仲)을 얻고 나서 세 마디의 곡을 했으니, 관중이 금방 죽게 된 순간에 가까스로 얻어진 것을 슬퍼한 때문이다. 《管子》

삼거【三車】당 나라 자은대사(慈恩大師)가 불경(佛經)을 많이 읽어서, 출입할 때에 반드시 책을 세 수레[三車]에 싣고 다녔으므로 삼거법사(三車法師)라 한다.

삼거【三車】우차(牛車)ㆍ양차(羊車)ㆍ녹차(鹿車)가 3차(三車)인데, 불교에서 그것을 대승(大乘)ㆍ성문승(聲聞乘)ㆍ연각승(緣覺乘)에 비유한다.

삼걸【三傑】한 고조(漢高祖)가 말하기를, “관중(關中)에서 군사와 군량(軍糧)을 징발하여 전장으로 보내어 부족함이 없게 하는 것은 소하(蕭何)요, 장막 가운데서 계책을 내어 천리 밖의 승리를 결정하는 것은 장량(張良)이요, 싸움하면 반드시 이기고 공격하면 반드시 빼앗는 것은 한신(韓信)이니, 이 세상 사람은 다 인걸(人傑)이다.” 하였다.

 

10/20/30/40/50/60/70/80/90/100/10/20/30/40/50/60/70/80/90/200/10/20/30/4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

 

 

www.yetgle.com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