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명언명구/사전

하늘구경 

 

 

 

 

 

 

삼려경수【三閭敬嬃】너무 강직하게 굴지 말아야 한다는 뜻. 초(楚)의 삼려 대부(三閭大夫)굴원(屈原)이 쓴 이소경(離騷經)안에, 굴원의 누이[女嬃]가 굴원을 끌어당기면서 너무 유별나게 강직하지 말라고 신신당부를 하였다고 했음.

삼려대부【三閭大夫】전국 시대 초(楚) 나라의 관명(官名)으로, 왕족인 소씨(昭氏)ㆍ굴씨(屈氏)ㆍ경씨(景氏) 세 집안의 계보(系譜)와 인재 등용을 관장하였는바, 여기서는 이 벼슬을 지낸 굴원(屈原)을 가리킨 것이다.

삼려대부【三閭大夫】초 왕실의 삼성(三姓)인 소(昭), 굴(屈), 경(景) 삼가(三家)의 벼슬.

삼려찬국【三閭餐菊】초(楚)의 삼려대부(三閭大夫) 굴원(屈原)을 이른다. 초사(楚辭) 이소(離騷)에 “아침에는 목란(木蘭) 위의 이슬을 마시고 저녁에는 국화꽃을 먹는다.” 했다.

삼련【參連】주례(周禮)의 오사(五射) 가운데 한 가지 활쏘는 법으로서, 즉 앞에 화살 하나를 쏘고 뒤에 세 화살을 연속으로 쏘는 것을 말한다.

삼령【三靈】천신(天神), 지기(地祇), 인귀(人鬼)를 말한다.

삼령【三靈】해ㆍ달ㆍ별, 혹은 천(天)ㆍ지(地)ㆍ인(人)을 가리킨다.

삼령오신【三令五申】세 번 호령하고 다섯 번 거듭 말함. 곧 군대에서 자세히 명령함. 사기(史記) 손무전(孫武傳)에, “약속이 이미 보고되자 바로 부월(鈇鉞)을 설비하고 삼령 오신을 하였다.” 하였음.

삼례【三禮】유가의 경전으로, 주례(周禮)ㆍ의례(儀禮)ㆍ예기(禮記)의 합칭이다.

삼로【三老】고대에 삼로(三老)와 오경(五更)의 자리를 설치하여 노인을 봉양하였다. 《禮記 文王世子》

삼로【三老】노젓는 사람을 삼로라 한다.

삼로【三老】삼로는 정직(正直)ㆍ고명(高明)ㆍ침잠(沈潛)의 삼덕(三德)을 아는 장로(長老)로 한 사람이라고도 하고 세 사람이라고도 한다.

삼로【三老】옛날에 임금이 부형(父兄)에 대한 예로써 우대하던 노인을 말하는데, 그는 한 향중(鄕中)의 교화를 맡았다고 한다.

삼롱적【三弄笛】있는 실력을 모두 발휘하여 한껏 뽐내면서 피리를 부는 것을 말한다. 진(晉) 나라 왕휘지(王徽之)가 피리의 명인 환이(桓伊)를 만나 한 곡조 청하자 아무 말 없이 세 곡조나 불어 주고[三弄] 떠난 고사가 있다. 《世說新語 任誕》

삼료응시【參寥凝始】언어와 문자의 길이 끊어진 현묘(玄妙)한 상태를 말한다. 장자(莊子) 대종사(大宗師)에 “……오구(於謳)는 현명(玄冥)에게서 듣고, 현명은 삼료(參寥)에게서 듣고, 삼료는 의시(疑始)에게서 들었다.”고 되어 있다.

삼료자【參廖子】송(宋) 나라의 고승(高僧) 도잠(道潛)의 호. 삼료자집(參寥子集) 12권을 남겼다.

삼룡【三龍】파지국(波知國)의 삼지전(三池傳)에 의하면, 큰 못에 용왕(龍王)과 용부(龍婦)와 용자(龍子)가 있는데, 행인(行人)들이 제사를 지내면 편히 그 곳을 지날 수가 있으나, 제사를 지내지 않으면 반드시 풍우(風雨)를 만나게 된다고 하였다.

삼류대화성【三流大火星】3년이 지났음을 말한다. 화성(火星)은 심성(心星)을 말한 것으로, 음력 7월이 되면 그 별이 서쪽으로 흐른다. 시경(詩經) 빈풍(豳風) 칠월편(七月篇)에 ‘칠월유화(七月流火)’라는 구절이 나온다.

삼리술【三里術】후한(後漢) 장해(張楷)가 도술(道術)을 좋아하여 5리 안개를 만들고, 같은 때의 관서(關西) 사람 배우(裴優)가 또한 3리 안개를 만들었다. 후한서(後漢書)

 

10/20/30/40/50/60/70/80/90/100/10/20/30/40/50/60/70/80/90/200/10/20/30/4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

 

 

www.yetgle.com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