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명언명구/사전

하늘구경 

 

 

 

 

 

 

삼옹【三雍】벽옹(辟雍), 명당(明堂), 영대(靈臺)를 통틀어 일컫는데 고대 제왕들이 제사와 전례를 거행하는 장소이다.

삼옹【三雍】삼옹은 벽옹(辟雍)ㆍ명당(明堂)ㆍ영대(靈臺)를 지칭한다.

삼왕묘【三王墓】간장(干將)이 초왕을 위해 검을 주조하였는데, 자검ㆍ웅검 한 쌍으로 삼 년을 고생하여 겨우 완성하였다. 그는 자신이 검을 너무 늦게 만들어낸 것 때문에 초왕이 필히 그를 해칠 것임을 알고, 당시 임신 중이던 아내 막야(莫邪)에게 웅검을 감춰두었다가 후에 만약 아들을 낳으면 그가 성인이 되기를 기다려 아버지를 위해 원수를 갚게 하도록 당부하였다. 초왕은 과연 막야를 죽였다. 막야의 유복자 적비(赤比)는 장성한 후 아버지가 참혹하게 살해당한 연유를 알게 되었고, 곧 웅검을 찾아내고 복수의 기회를 노렸다. 초왕은 이 소문을 접한 후, 전국에 상을 내걸고 적비를 체포하도록 명령했다. 적비는 산중을 유랑하다 한 협객을 만나는데, 협객은 만약 적비가 자신의 머리와 검을 건네준다면 그가 적비를 대신해 복수를 하겠다고 한다. 적비는 전혀 망설임 없이 즉시 스스로 목을 베어 “두 손으로 머리와 검을 받쳐들고 그에게 바쳤다”. 협객은 적비의 머리와 검을 초왕에게 바쳤고, 초왕은 크게 기뻐한다. 협객은 초왕에게 적비의 머리를 큰 가마솥에 넣어 삶도록 권했는데, 초왕이 그 앞에 나아가 구경을 하자 협객은 잠시 무방비한 틈을 타서 그의 목을 베어 암살하고, 그 또한 동시에 스스로 목을 베었다. 세 사람의 머리가 가마솥에서 함께 삶아지면서 구분할 방도가 없었으므로 초나라 사람들은 할 수 없이 세 사람을 함께 장사지냈고, 그곳을 ‘세 왕의 무덤’이라 불렀다.

삼우도【三友圖】근세 화가들은 송(松)ㆍ죽(竹)ㆍ매(梅)를 합해 그려 세한삼우(歲寒三友)라고도 하고 또한 매ㆍ죽ㆍ석(石)을 그리는 자도 있음. 소동파가 문여가(文與可)의 그림에 제하여 이르기를 “梅寒而秀 竹瘦而壽 石醜而文 是爲三益之友" 라 하였음.

삼우반【三隅反】네 모퉁이가 있는 물건이 있을 때, 한 모퉁이를 들어서 나머지 세 모퉁이를 유추(類推)하여 알아내는 것을 이른 말로, 즉 학문에 대단히 힘쓰는 것을 비유한 말이다. 공자가, “한 귀퉁이[一隅]를 가르쳐 주거든 그가 삼우(三隅)로 미루어서 돌려 생각하지 못하면 말해 주지 않았다.” 하였다. 《論語 述而》

삼우제【三虞祭】장사를 지낸 뒤 죽은 이의 혼백을 평안하게 하기 위해 지내는 제사를 말함. 장사 당일 지내는 제사를 초우(初虞), 다음날 지내는 제사를 재우(再虞), 그 다음날 지내는 제사를 삼우(三虞)라 한다. 오늘에 와서는 흔히 장사 지낸 후 삼일째 되는 날 삼우제만 지내고 있다. 흔히 ‘삼오제’라고 잘못 쓰는 경우가 많다.

삼원【三元】연(年), 월(月), 일(日)이 새로 시작된다는 뜻에서 정월 초하루를 일컫는 말이다.

삼원【三垣】천체의 항성(恒星)을 크게 나눈 세 개의 분야로, 태미원(太微垣), 자미원(紫微垣), 천시원(天市垣)을 말한다.

삼원【三元】향시(鄕試), 회시(會試), 정시(廷試)에서 모두 장원(壯元)한 것을 이르는데, 전하여 인재를 의미한다.

삼원각상합【三元角上合】삼원(三元), 즉 연(年), 월(月), 일(日)의 시작인 새해의 첫 아침이 밝아 오는 것을 말한다.

삼원변혁년【三元變革年】삼원은 연월일(年月日)의 시작이 되는 정월 초하루를 뜻하는 말로, 황제가 새로 즉위하여 연호가 바뀌게 된 것을 가리킨다.

삼원일【三元日】연(年), 월(月), 일(日)의 시작인 정월 초하루를 말한다.

삼원절【三元節】정월 초하루를 이름. 세시(歲始)이고 월시(月始)이며 일시(日始)라는 뜻에서 이렇게 말한다.

 

10/20/30/40/50/60/70/80/90/100/10/20/30/40/50/60/70/80/90/200/10/20/30/4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

 

 

www.yetgle.com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