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명언명구/사전

하늘구경 

 

 

 

 

 

 

서복【徐福】진시황(秦始皇)의 명을 받고 삼신산(三神山)의 불사약(不死藥)을 구하러 떠난 방사(方士)의 이름인데, 뒤에 일본에 건너갔다는 설이 있다. 《史記 秦始皇本紀》

서복사【徐福祠】진(秦)의 방사(方士). 혹 서시(徐市)라고도 함. 삼신산(三神山)의 불사초(不死草)를 구해온다고 진시황(秦始皇)을 달래어 동남동녀(童男童女) 각 3천 명을 거느리고 누선(樓船)을 타고 바다에 나간 후 돌아오지 않았다. 전설에 의하면 그의 일행이 일본에 건너가 정주(定住)했다 하며 와까야마[和歌山] 지방에 그 유적과 신사(神祠)가 있었다고 한다.

서봉【西鳳】서봉사(西鳳寺) 즉 건봉사(乾鳳寺)의 옛 이름이다.

서부【西浮】서쪽에서 떠 와서 동쪽으로 간다.

서부등단【西府登壇】서부(西府)는 추밀부(樞密府)다. 등단(登壇)은 대장이 된 것을 말하는데, 한왕(漢王)이 한신(韓信)을 대장으로 삼을 때에 단을 쌓고 예식을 갖추어 임명한 고사에서 나온 말이다.

서분금고문【書分今古文】서경(書經)에는 금문(今文)과 고문(古文)이 있는데, 금문은 총 29편으로 진(秦) 나라 분서갱유(焚書坑儒) 때 복생(伏生)이 숨겨두었다가 한(漢) 나라 때 다시 강(講)한 것이며, 고문은 한 나라 경제(景帝) 때 공자(孔子)의 옛 집을 헐다가 벽 사이에서 발견됐다. 고문은 총 45편인데, 고문자(古文字)인 과두문(蝌蚪文)으로 쓰여져서 알아보지 못하다가 공자의 후손인 공안국(孔安國)에 의하여 번역되었다.

서불【徐巿】서불은 진(秦) 나라 때의 방사(方士)였는데, 진시황(秦始皇)에게, 해중(海中)의 삼신산(三神山)에는 신선(神仙)이 살고 있으니, 동남동녀(童男童女)를 데리고 가서 신선을 찾겠다고 청하여 과연 동남 동녀를 5백 명을 거느리고 신선을 찾으러 해중으로 들어간 뒤 소식이 없었다 한다. 《史記 秦始皇本紀》 전설에 그가 일본에 가 살았다 한다. 특히 화가산(和歌山 와카야마) 지방에 서불사(徐巿祠)가 있었다 한다.

서불가진신【書不可盡信】책에 기록되어 있다고 다 믿어서는 안 된다.

서불사【徐巿祠】서불은 진(秦) 나라의 방사(方士) 서복(徐福)이다. 진시황(秦始皇)이 서복에게 동해의 삼신산(三神山)으로 가서 불로초(不老草)를 캐 오라고 하면서 동남 동녀(童男童女) 3천 명을 데리고 가게 하였는데, 서복이 일본에 도착하여 그곳에 살면서 돌아오지 않아 일본의 시조가 되었다고 한다. 일본의 화가산현(和歌山縣)에 서복의 무덤이라는 것이 있고, 그의 사당이라는 것도 있다.

서비【犀比】무소의 뿔로 만든 요대(腰帶)의 꾸미개를 말한다.

서비【西飛】새로 벼슬길에 올라 승문원(承文院)에 속하여 있다가 예문관 검열(藝文館檢閱)이나 승정원 주서(承政院注書)가 되어 영전(榮轉)하는 것. 예문관, 승정원이 승문원의 서쪽에 있으므로 이렇게 말하였다.

서비【徐妃】서비(徐妃)는 양 원제(梁元帝)의 비(妃)로 이름은 소패(昭佩)인데, 원제가 한 눈이 애꾸눈이었으므로, 반면(半面)에만 화장(化粧)을 하고 임금을 맞이했다가 임금의 노염을 샀다. 그 뒤에 그녀는 임금의 근신(近臣)과 음통(淫通)하였다.

서사【西祀】무제가 서쪽으로는 분음(汾陰)에 가서 땅의 신인 후토(后土)를 제사지냈다.

서사【西思】서쪽을 그리워하다.

서사가【徐四佳】세종~성종 때의 문신이자 학자인 서거정(徐居正)의 호가 사가(四佳)이다.

 

10/20/30/40/50/60/70/80/90/100/10/20/30/40/50/60/70/80/90/200/10/20/30/4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

 

 

www.yetgle.com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