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명언명구/사전

하늘구경 

 

 

 

 

 

 

사일【社日】보통은 입춘(立春)이나 입추(立秋) 뒤의 다섯 번째 무일(戊日)을 가리키나, 사시(四時)에 치제(致祭)하는 날을 뜻하기도 한다. 두보(杜甫)의 시에 “늙은 농부 사일이 가까워지자, 나를 초청해서 새 술 맛보여 주네.[田翁逼社曰 邀我嘗新酒]”라는 표현이 있다.

사일【蜡日】사일은 납제(臘祭) 지내는 날을 이르는데, 자공(子貢)이 납제 지낸 것을 보고 오자, 공자(孔子)가 묻기를 “사(賜)야 즐거웠느냐?”하니, 대답하기를 “온 나라 사람들이 모두 미친 듯이 즐거워했으나, 사는 그 즐거움을 알 수가 없었습니다.” 하므로 공자가 이를 “백일 동안 부지런히 일하고 단 하루의 납제를 만났으니, 그 즐거움을 너는 알 바가 아니다.”고 했던 데서 온 말이다. 《禮記 雜記》

사일【社日】사직단(社稷壇)에서 토지의 신에게 제사하는 날. 입춘(立春) 후 다섯 번째의 무일(戊日)을 춘사(春社)라 하고, 입추(立秋) 후 다섯 번째의 무일을 추사(秋社)라 하는데, 특히 가을의 사일에는 제비가 둥지를 떠난다고 한다.

사일【射日】태양을 쏜다는 것은 요(堯) 임금 때에 태양이 10개가 함께 나타나서 곡식과 초목을 다 태워 백성이 살 수가 없게 되므로, 요 임금이 예(羿)를 시켜 태양 9개를 활로 쏘아 떨어뜨리게 했다는 고사에서 온 말로, 곧 백성들에게 해가 되는 것들을 제거함을 비유한 말이다.

사일포우육【死日飽牛肉】두보가 일찍이 뇌양현(耒陽縣) 악사(岳祠)에 가 노닐 적에 갑자기 큰물이 져서 열흘이 넘도록 갇혀 밥을 먹지 못하다가 그곳 현령(縣令)이 구운 쇠고기와 탁주를 배에 실어 보내 주자 그것을 먹고 죽었다는 고사이다.

사자【沙觜】강이나 바다 가운데 모래 무더기가 돌출(突出)한 곳을 이름.

사자【師子】불가(佛家)에서 부처를 이르는 말임.

사자【四子】사마표와 이이(李頤)는, “왕예(王倪)ㆍ설결(齧缺)ㆍ피의(被衣)ㆍ허유(許由)다.” 했고, 이정(李楨)은, “실제로 사람을 가리킨 것은 아니다.” 했음.

사자【四字】중용(中庸)에 나오는 ‘계신공구(戒愼恐懼)’를 가리킨다.

사자불범【師者不範】안창후(安昌侯) 장우(張禹)가 성제 때의 사부(師傅)가 되어, 외척(外戚) 왕씨(王氏)가 전정(專政)함을 보고도 직언(直言)하지 못하고 아첨하므로 주운의 탄핵을 만났다.

사자심상빈【奢者心常貧】사치하는 사람은 마음이 항상 가난하다는 뜻으로, 사치를 좋아하는 사람은 만족할 줄 몰라 마음이 항상 가난하다는 의미.

사자연【謝自然】중국 당나라 정관(貞觀) 중의 여도사(女道士)임. 본디 과주(果州) 남충현(南充縣)의 한녀(寒女)인데 천태산(天台山)의 사마자미(司馬子微)에게 도술을 배워 신선이 되어 갔다. 한유(韓愈)의 시에 보임.

사자제【四字題】고운(孤雲) 최치원(崔致遠)이 경남 하동(河東) 쌍계사(雙磎寺) 암벽에 새겨 놓은 ‘광제암문(廣濟巖門)’이라는 네 글자를 말한다.

사자차시학【寫字此是學】글자를 베끼는 것이 바로 배움이라는 뜻으로, 경건한 마음으로 글자를 베껴 쓰면 그 베껴 쓰는 일 자체가 이미 갈고 닦는 학문이라는 의미.

사자화【師子花】사자화는 당 나라 곽자의(郭子儀)의 명마(名馬) 이름이다.

사자후【獅子吼】사자의 부르짖음이란 말로써 웅변을 토한다는 의미. 부처의 설법에 뭇 악마가 굴복한 데서 ‘부처의 설법’을 의미하거나, 진리나 정도를 설하여 사설(邪說)을 갈파하는 것을 의미함. 유마경(維摩經) 불국품(佛國品)에 “두려움 없이 설법하는 것이 마치 사자가 우는 소리와 같다.” 한 데서 나온 말로, 본래 설법하는 소리가 세계를 진동하여 마치 사자의 울음에 뭇 짐승들이 모두 무서워하는 것과 같다는 뜻이다.

 

10/20/30/40/50/60/70/80/90/100/10/20/30/40/50/60/70/80/90/200/10/20/30/4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

 

 

www.yetgle.com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