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명언명구/사전

하늘구경 

 

 

 

 

 

 

성곽학신【城郭鶴身】정령위(丁令威)가 천 년 만에 학이 되어 요동(遼東) 성곽(城郭)에 돌아와 앉은 고사.

성관【星官】천문을 관측하는 관상감(觀象監) 관원.

성광【聖狂】성광은 성인과 미치광이란 말. 서경(書經) 周書 多方에 “오직 성인도 생각 없으면 미치광이 되고 미치광이도 능히 생각하면 성인 된다.” 하였다.

성교【星橋】청 나라 고종태(顧宗泰)의 자.

성궐【城闕】시경(詩經)에, “경박한 자가 성궐(城闕)에 논다. 하룻동안 보지 못하니 몇 달이 된 것 같도다.” 하였다.

성기【聲伎】궁중이나 귀족의 집에 종사하는 가희(歌姬)와 무녀(舞女)를 말한다.

성기【星紀】일(日)ㆍ월(月)ㆍ오성(五星)의 종(終)과 시(始)가 되는 남두성(南斗星)과 견우성(牽牛星)을 가리킨다.

성기【誠幾】주렴계(周濂溪)의 통서(通書)에, “성은 무위이고 기는 선악이 있다.[誠無爲 幾善惡]”라 하였음.

성기【成己】한서(漢書)에 의하면, 무제(武帝)가 조선을 쳐 조선은 이미 항복을 하였으나 왕검성(王儉城)이 함락되지 않았었는데, 우거(右渠)의 신하 성기(成己)가 다시 반기를 들고 역공해 오므로 순체(荀彘)가 그 곳 백성들을 달래어 성기를 죽였기 때문에 조선을 평정할 수 있었다고 되어 있는데 동국통감(東國通鑑)에다 그대로 써 놓았다.

성년부중래【盛年不重來】젊은 시절은 거듭 오지 아니하니, 젊은 시절에 시간을 아껴 공부하라는 뜻.

성노【星奴】당 나라 한유의 종에 성(星)이란 이름을 가진 자가 있었으므로 뒷사람이 종을 통칭하여 성이라 함.

성단【城旦】옛날 형벌의 일종. 낮에는 적을 방어하고 밤에는 성을 쌓는 형벌.

성대【星臺】삼태성(三台星)으로, 조정의 중추기관인 의정부를 뜻한다.

성도【成都】도시를 이룬다는 말은 순 임금이 사는 마을이 삼년 만에 사람이 모여들어 도시가 되었다는 말. 《書經 舜典》

성도은【成都隱】촉(蜀) 땅 성도(成都)에서 사람들에게 점을 쳐 주며 숨어 살았던 고사(高士) 엄군평(嚴君平)을 가리킨다.

성도지당【成都之堂】성도 초당은 곧 성도에 있는 두보(杜甫)의 초당을 말 한 것으로, 두보의 문장이 검각산(劍閣山)처럼 높고 훌륭함을 의미한다.

성도팔백상【成都八百桑】자기 스스로 생활할 수 있는 자산을 말한 것. 제갈량(諸葛亮)이 후주(後主)에게 말하면서, “신에게는 성도(成都)에 뽕나무 팔백 주와 밭 십오 경(頃)이 있어 자손들이 먹고살기에는 넉넉합니다.” 운운하였음.

성동격서【聲東擊西】동쪽에서 소리내고 서쪽을 침. 동쪽을 친다고 소문을 퍼뜨리고 실제로는 서쪽을 침. 기묘한 용병用兵으로 승리를 거둠

성동격서【聲東擊西】상대방을 속여 교묘하게 공략한다는 뜻의 고사성어.

성두【星斗】성두는 별을 가리킨 것으로, 즉 뛰어난 재능을 지녔음을 뜻한다.

성랑【省郞】성금(省禁) 안에서 근무하는 임금의 시종신(侍從臣)을 가리키는 말이다.

성랑【星郞】성랑은 낭관(郞官)의 별칭이고 사군은 수령의 별칭으로, 낭관으로 있다가 수령이 되었다는 것이다.

성렴【省斂】춘추 시대 제(齊) 나라 안자(晏子)가 경공(景公)의 물음에 답하기를 “임금이 봄이면 백성들의 농사짓는 것을 살피어 부족한 것을 보충해 주고, 가을이면 수확하는 것을 살피어 넉넉하지 못한 것을 도와 주는 것이다.[春省耕而補不足 秋省斂而助不給]”고 한 데서 온 말이다. 《孟子 梁惠王下》

 

10/20/30/40/50/60/70/80/90/100/10/20/30/40/50/60/70/80/90/200/10/20/30/4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

 

 

www.yetgle.com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