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옛글닷컴ː명언명구/사전

하늘구경  

 

 

 

 

위천【渭川】위천은 여상(呂尙)이 낚시질하다가 주 문왕(周文王)을 만났던 위수(渭水)를 말한다.

위천【渭川】위천은 위수(渭水)를 말하는데, 주 효왕(周孝王)이 진(秦) 나라 비자(非子)를 시켜 위수와 견수(汧水) 사이에서 말을 기르게 하여 말이 크게 번식되었다. 《史記 卷五 秦本紀》

위천조주인【渭川釣周人】강 태공(姜太公)을 가리킨다. 주(周) 나라 때 강 태공이 위천에서 낚시질을 하고 있다가 문왕(文王)을 만나서 세상에 나왔고, 또 무왕(武王)을 도와 천하를 평정하였다.

위천죽【渭川竹】위수(渭水)의 물가에 대나무가 많이 자라는데, 사기(史記) 화식전(貨殖傳)에 “위천의 천묘죽(千畝竹)을 가진 사람은 천호후(千戶侯)와 대등하다.” 하였음.

위천지간도【渭川持竿圖】태공망(太公望) 여상(呂尙)이 주 문왕(周文王)에게 발탁되기 전 위수 가에서 낚시질하던 때의 광경을 그린 그림.

위천천무【渭川千畝】위수(渭水)의 연안(沿岸)에 대가 많이 나는 곳이 있음을 이른 말이다. 《史記 卷一百二十九 貨殖列傳》

위천후【渭川侯】위천에 있는 대나무밭 천 이랑을 소유한 사람이라는 뜻이다. 위천은 대나무가 잘 자라기로 유명한 곳인데, 이곳의 대나무밭 천 이랑을 소유한 사람은 천호후(千戶侯)와 같다고 한다. 《史記 卷129 貨殖列傳》

위청【衛靑】한(漢) 나라 무제(武帝) 때 사람. 흉노족을 정벌한 공으로 대장군에 제수되었고, 곽거병(霍去病)과 더불어 당대의 명장으로 이름났다.《漢書 卷五十五 衛靑霍去病傳》

위체시가별유재【僞體詩家別有裁】진체(眞體)가 아닌 위체를 제거함을 말한 것이다.

위타【尉佗】남월(南越)의 왕 조타(趙佗)를 가리킨다. 조타가 한 나라 문제(文帝) 때 스스로 왕이 되어 무제(武帝)라고 칭하였는데, 문제가 육가(陸賈)를 사신으로 보내어 타이르자 드디어 황제의 호칭을 버리고 신(臣)이라 칭하였다. 《史記 卷97 酈生陸賈列傳》

위태【委蛻】장자(莊子) 지북유(知北遊)에 “자식과 손자는 너의 소유가 아니고, 바로 천지의 기(氣)가 쌓이어 매미 허물처럼 너의 뒤를 남긴 것이다[孫子非汝有 是天地之委蛻也].” 한 데서 온 말이다.

위편【韋編】옛날에는 종이가 발명되지 아니하여 대[竹]쪽에다 써서 전하였던 것인데, 그 대쪽을 가죽으로 엮었다. 그래서 서적을 위편(韋編)이라고 한다. 공자는 늘그막에 주역(周易)을 좋아하여 가죽으로 만든 책끈이 닳아서 세 번이나 끊어졌다 한다.

위편삼절【韋編三絶】책을 열심히 읽는 것을 말한 것으로, 공자가 만년에 주역(周易)을 매우 많이 읽어 간책(簡冊)을 열심히 읽다보니 그 가죽이 세 번이나 끊어졌다고 한다. 《史記 孔子世家》

위평【韋平】서한(西漢) 시대의 위현(韋賢), 위현성(韋玄成)과 평당(平當), 평안(平晏) 부자를 아울러 지칭하는 말로 쓰인다. 이들 부자가 서로 계승하여 재상이 되었으므로 세상의 추중을 받았다. 《漢書 卷七十一 平當列傳》

위학【僞學】정의에 어그러지는 학문.

위항【委巷】서민들이 사는 거리.

위행언손【危行言遜】논어(論語) 헌문(憲問)에 “나라에 도가 행해질 때에는 말과 행동 모두 높고 곧게 해야 하고, 나라에 도가 행해지지 않을 때에는 행동은 높고 곧게 하되 말은 낮춰서 겸손하게 해야 한다.[邦有道 危言危行 邦無道 危行言遜]”는 공자의 말이 실려 있다.

위현【韋弦】스스로 몸가짐을 중도에 맞도록 경계하는 것을 이름. 옛날에 성질이 매우 급했던 서문표(西門豹)는 부드러운 가죽[韋]을 몸에 지녀서 성질을 느슨하게 하고, 마음이 매우 느슨했던 동안우(董安于)는 팽팽한 활시위[弦]를 몸에 지녀서 마음을 조금 급하게 하여, 각각 그 부족한 것을 보충했다는 데서 온 말이다. 《韓非子 觀行》

위현성【韋玄成】한(漢) 나라 때 사람. 그는 젊어서부터 경학(經學)에 밝아 명망이 높았고 그의 아버지인 위현(韋賢)은 승상(丞相)을 지냈으며 역시 경학에 밝았기 때문에 이른 말이다. 문장으로는 현성이 오히려 아버지보다 훌륭했다고 한다.《史記 卷九十六 張丞相傳》

 

10/20/30/40/50/60/70/80/90/100/10/20/30/40/50/60/70/80/90

200/10/20/30/40/50/60/70/80/90/300/10/20/30/40/50/60/7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

 

 

www.yetgle.com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