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옛글닷컴ː명언명구/사전

하늘구경  

 

 

 

 

이춘경【李春卿】춘경은 이규보의 자(字)이다.

이충【移忠】이충은 ‘이효위충(移孝爲忠)’의 준말이다. 부모를 떠나 벼슬하는 사람은 효(孝)를 옮겨서 충(忠)을 하여야 한다는 옛말이 있다.

이충【泥蟲】이충은 남해(南海)에서 생산되는데, 뼈가 없으며, 물이 있으면 활동을 하지만, 물이 없으면 취하여 진흙처럼 가만히 있다 한다. 그러므로 술에 취하여 가만히 있는 것을 말한다. 《異物志》

이충설【二蟲說】장자(莊子) 소요유(逍遙遊)에 “조그만 매미와 비둘기가 어찌 큰 붕새의 뜻을 알겠느냐.” 한 논설을 말한다.

이충잡채【李冲雜菜】광해조에 이충이란 자는 잡채로써, 최관이란 자는 국수로써 광해군에게 때마다 진상하여 아부함으로써 높은 벼슬을 얻게되자 당시 사람들이 기롱하여 부른 말.

이충정【李忠定】충정(忠定)은 송(宋) 나라 이강(李綱)의 시호. 그는 금(金)과의 관계에서 강경론자로 항전(抗戰)을 주장하고 천도(遷都)를 반대하였으며, 남송(南宋)의 고종(高宗)이 즉위하자 상서우복야(尙書右僕射) 겸 중서시랑(中書侍郞)이 되어 반대파를 논죄하고 가까운 자를 등용하여 항전 태세를 갖추었으나, 75일 만에 해임되어 자리를 떠났다.

이측아차대질신【離昃俄嗟大耋身】원로의 죽음을 가리킨다. 주역(周易) 이괘(離卦) 구삼효(九三爻)에 “해가 서쪽으로 기우는 상이니, 질장구를 치며 노래하지 않으면 대질의 탄식이 있게 된다.[日昃之離 不鼓缶而歌 則大耋之嗟]”라 하였다.

이측하상【離昃何傷】생사(生死)의 도리를 알아 마음을 편히 가져야 한다는 말이다. 주역(周易) 이괘(離卦) 구삼효(九三爻)에 “서산에 해가 기우는 형상이니, 질장구 치고 노래 부르지 않는다면, 이는 노년을 한탄함이니, 흉하도다.[日昃之離 不鼓缶而歌 則大耋之嗟 凶]”하였다.

이칙【夷則】본디 악기의 고저청탁을 분별하는 12율 가운데 하나인데, 그 12율을 12개월에 붙였을 때 이칙이 7월에 해당한다 하여 7월을 뜻한다.

이칙【夷則】임종(林鐘)과 함께 각각 십이율(十二律)중의 한 가지 명칭임.

이태금동잠【異苔今同岑】곽박(郭璞)의 증온교시(贈溫喬詩)에 “人亦有言 松竹有林 及爾臭味異苔同岑" 이라 하였는데, 지금 동지(同志)의 벗을 태잠이라 하는 것은 그에 근본한 것임.

이태언【李台彦】태언(台彦)은 이위국(李緯國)의 자(字)이다.

이판사판【理判事判】마지막 궁지에 몰린 상황을 말하는 이판사판은 이판(理判)과 사판(事判)의 합성어. 이판은 참선, 경전 공부, 포교 등 불교의 교리를 연구하는 스님이고, 사판은 절의 산림(山林)을 맡아 하는 스님이다. 산림이란 절의 재산 관리를 뜻하는 말인데 산림(産林)이라 쓰기도 한다. ‘살림을 잘한다’에 쓰이는 살림이 여기서 유래되었다. 조선조에 스님이 된다는 것은 마지막 신분계층이 된다는 것을 의미하는 일. 조선 시대가 불교를 억압하고 유교를 국교로 세우면서 스님은 성안에 드나드는 것조차 금지되었다. 이 때문에 조선조에서 스님이 된 것은 이판이 되었건 사판이 되었건 그것은 마지막이 된 것이었고, 끝장을 의미하는 일이었다. 막다른데 이르러 어찌할 수 없게 된 판을 가리키는 말.

이팔【二八】16세. 

이편개전【以偏槪全】이는 일부분을 가지고 전체를 개괄해 버리는 오류이다.

이포새【伊蒲塞】불교(佛敎) 용어, 오계(五戒)를 받은 남자 중을 이름.

이포역포【以暴易暴】폭력으로 폭력을 다스린다는 말로, 정치를 함에 있어 덕(德)으로 하지 않고 힘(力)으로 다스린다는 뜻의 고사성어.

이포찬【伊蒲饌】이포찬은 중이 먹는 음식을 말하는데, 서언고사(書言故事) 석교류(釋敎類)에 “재(齋) 올리는 음식을 이포찬이라 한다.” 하였다.

 

10/20/30/40/50/60/70/80/90/100/10/20/30/40/50/60/70/80/90

200/10/20/30/40/50/60/70/80/90/300/10/20/30/40/50/60/7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

 

 

www.yetgle.com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