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옛글닷컴ː명언명구/사전

하늘구경  

 

 

 

 

이모【嬭母】유모(乳母)와 같은 뜻인데, 남조 송(南朝宋) 때 하승천(何承天)이 연로하여 비로소 장작좌랑(將作佐郞)에 제수되자, 다른 여러 좌랑들은 모두 명가(名家)의 연소자들이었으므로, 순백자(荀伯子)가 하승천을 조롱하여 항상 ‘이모’라 호칭했던 데서 온 말이다. 《南史 何承天傳》

이모【二毛】이모는 머리가 백색과 흑색이 반반인 것으로 곧 반백(斑白)을 말한다. 진(晉) 나라 반악(潘岳)이 산기성(散騎省)에서 숙직하면서 추흥부(秋興賦)를 짓기를, “32세에 처음으로 이모를 보았다.[余春秋三十有二 始見二毛]”하였다.

이모년【二毛年】32세의 나이를 말한다. 진(晉) 나라 반악(潘岳)의 추흥부(秋興賦) 서(序)에 “서른 두 살 먹었을 적에 흰머리가 나기 시작했다.[余春秋三十有二 始見二毛]”하였다.

이모반랑【二毛潘郞】반백(半白)이 된 반악(潘岳)이라는 뜻이다. 진(晉) 나라 반악의 추흥부서(秋興賦序)에 “余春秋三十有二 始見二毛”라 하였다.

이목【李牧】이목은 전국시대 조(趙)나라의 명장인데, 풍당이 문제에게 위상을 풀어주라고 간하기에 앞서 문제가 “내가 염파와 이목을 얻어 내 장수로 삼지 못한 것이 애석하다. 그랬더라면 내가 어찌 흉노를 걱정할 일이 있겠는가.” 하자, 풍당이 지금 위상 같은 인물도 제대로 부려 쓰지 못하면서 그런 생각을 갖는다는 뜻으로 대답하기를 “폐하께서는 비록 염파와 이목을 얻었더라도 능히 쓰지 못할 것입니다.” 하였다. 《史記 卷一百二 馮唐傳》

이목【李牧】전국 시대 조(趙) 나라의 명장. 일찍이 흉노(匈奴)를 크게 격파하여 그들로 하여금 다시는 조 나라를 침범하지 못하게 하였고, 또 진군(秦軍)을 크게 무찔러 그 공으로 무안군(武安君)에 봉해졌다. 그가 참소를 만나 죽은 뒤에는 흉노를 막을 장수가 없었다. 《史記 卷八十一 廉頗藺相如列傳》

이목우【李牧牛】조(趙) 나라의 명장인 이목이 북쪽 변방에서 흉노들과 대치하고 있을 적에, 날마다 군사들에게 소를 잡아 먹이고 상을 내려주면서도 흉노와 싸우지 않고 있었다. 그러다가 군사들이 모두 흉노와 싸우고 싶어하는 마음이 생겼을 때 일거에 흉노를 들이쳐서 대승을 거뒀다. 이에 흉노가 10여 년 동안이나 조 나라 북방을 침입하지 못하였다. 《史記 卷81 廉頗藺相如列傳

이목지신【移木之信】위성자가 나무 옮기기로 백성들을 믿게 한다는 뜻. 곧 남을 속이지 아니한 것을 밝힘. 약속을 실행한다는 뜻의 고사성어.

이몽양【李夢陽】명 나라의 문학자. 자는 헌길(獻吉). 그는 시문(詩文)에 능하여 명 나라 십재자(十才子)의 으뜸이라 일컬음. 저서에는 이공동집(李空同集)이 있음.

이무【李袤】조선조 숙종 때 문신으로 자는 연지(延之), 호는 과암(果菴), 헌종 1년에 대사간이 되었으나 복상문제(服喪間題)로 서인(西人)을 탄핵하던 윤선도(尹善道)가 유배되자 사직했음.

이무관【李懋官】무관은 이덕무(李德懋)의 자이다.

이묵경【伊墨卿】청 나라 이병수(伊秉綬). 묵경은 그의 호. 시와 글씨에 능하였다.

이묵장【李墨庄】묵장(墨莊)은 청 나라 면주(緜州) 사람 이정원(李鼎元)의 자. 호는 사죽재(師竹齋).

 

10/20/30/40/50/60/70/80/90/100/10/20/30/40/50/60/70/80/90

200/10/20/30/40/50/60/70/80/90/300/10/20/30/40/50/60/7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

 

 

www.yetgle.com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