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옛글닷컴ː명언명구/사전

하늘구경  

 

 

 

 

유간일규【牖間一窺】춘추 시대에 섭공자고(葉公子高)가 용을 몹시 좋아하여 집안 여기저기다 용을 그려놓고 보곤 하였으므로, 천룡(天龍)이 그 소식을 듣고 내려와서 머리는 들창으로 들이밀어 엿보고 꼬리는 마루에 내려놓으니, 섭공이 그것을 보고는 버리고 달아났다는 고사에서 온 말이다. 《新序 雜事》

유강【惟康】유강은 만사의 온당함을 헤아리는 것으로서 임금이 정치를 신중히 하는 것을 말함. 《書經 益稷》

유개유고의【帷蓋有古義】공자가 기르던 개가 죽자 자공(子貢)에게 묻어 주게 하고 말하기를 “내가 듣건대, 해어진 휘장을 버리지 않는 것은 말을 묻어 주기 위해서이며, 해어진 수레의 차일을 버리지 않는 것은 개를 묻어 주기 위해서라고 하였다.[敝帷不棄 爲埋馬也 敝蓋不棄 爲埋狗也] 나는 가난해서 덮어줄 차일이 없으니, 묻을 때 거적을 충분히 덮어서 머리가 흙더미 속에 빠지지 않게 하라.”라고 하였다. 《禮記 檀弓下》

유개필선【有開必先】예기(禮記) 공자한거(孔子閒居)에 “하고자 하는 바의 일이 장차 이르려면 반드시 먼저 징조가 있다[嗜欲將至 有開必先].”이라 하였는데 그 주에 ‘유개필선’이란 말은 “성인(聖人)이 왕천하(王天下)를 하고자 할 적에는 신(神)이 길을 열어 반드시 먼저 그를 위하여 어질고 지혜 있는 보좌를 미리 낳게 한다.” 하였다.

유갱생【劉更生】갱생은 한(漢) 나라의 학자 유향(劉向)의 본명(本名)이다. 밤에 성수(星宿)를 관찰하면서 음양(陰陽)의 휴구(休咎)를 가지고 정치의 득실(得失)을 논했다고 한다. 《漢書 卷36》

유거【輶車】유거는 사신이 타고 다니는 가벼운 수레이다.

유거적막사도공【幽居寂寞似逃空】세상 소식을 듣지 못하고 고독하게 지내는 것을 말한다. 장자(莊子) 서무귀(徐无鬼)에 “텅 빈 골짜기로 도망친 자는 …… 사람의 발소리만 들려도 기쁜 마음에 가슴이 뛴다.[夫逃虛空者 …… 聞人足音跫然而喜矣]”는 ‘공곡 족음(空谷足音)’의 고사가 실려 있다.

유검【遺劍】전설에, “황제(黃帝)가 붕(崩)할 제 몸은 하늘로 올라가고 활과 검만 남겼다.” 하는데, 임금의 승하함을 말한다.

유검석【遺劍舃】임금의 죽음을 비유한 말. 황제(黃帝)가 죽어 교산(橋山)에 장사지냈는데, 산이 무너지고 관(棺)도 텅빈 채 칼과 신 두 가지만 관에 남아있었다는 데서 온 말이다. 《列仙傳》

유게주남사자헌【留憩周南使者軒】선정(善政)을 베푸는 지방관을 비유한 말. 주(周) 나라 소공(召公)의 선정에 감격하여 백성들이 그가 일찍이 감당 나무 그늘에서 쉬었던 관계로 그 감당 나무까지 대단히 여겨 감당시(甘棠詩)를 노래했던 데서 온 말이다. 《詩經 召南 甘棠》

유격【幽闃】그윽하고 조용하다

유견【柔牽】유(柔)한 도가 끌고서 나아간다는 뜻으로, 주역(周易) 구괘(姤卦)의 단사(彖辭)에, “구리로 만든 수레 멈춤대에 매어 놓은 것은 유한 도가 끌고서 나아가기 때문이다.[繫于金 柔道牽]”하였다.

유견쟁지타작훤【惟見爭枝墮雀喧】두보(杜甫)의 시에 “짹짹거리는 참새들 가지 다투다 떨어지고, 날아다니는 곤충들 마당 가득히 노니누나.[啅雀爭枝墜 飛蟲滿院遊]”라는 표현이 있다. 《杜少陵詩集 卷10 落日》

유경【遺經】유경은 공자가 찬(贊)한 주역(周易)을 말한다.

유경행【庾景行】경행은 유고지(庾杲之)의 자.

 

10/20/30/40/50/60/70/80/90/100/10/20/30/40/50/60/70/80/90

200/10/20/30/40/50/60/70/80/90/300/10/20/30/40/50/60/7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

 

 

www.yetgle.com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