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옛글닷컴ː명언명구/사전

하늘구경  

 

 

 

 

유방【遺芳】남겨 놓은 방초. 선인(先人)이 남긴 성대한 덕과 아름다운 명예를 말한다.

유방【遊方】사방에 여행하는 일. 불교(佛敎)의 용어로, 선종(禪宗)의 승려가 수행(修行)하기 위하여 여러 지방을 돌아다니는 것을 말한다.

유방【遊方】유필유방(遊必有方)의 준말이다. 논어(論語) 이인(里仁)에 “부모가 생존해 계시거든 먼 데 나가 놀지 말며, 놀더라도 반드시 일정한 소재가 있어야 한다.[父母在 不遠遊 遊必有方]”라고 하였다.

유방백세【流芳百世】꽃다운 이름이 백세에 널리 알려짐. 명예로운 이름이 후세 길이 전함.

유백륜【劉伯倫】백륜은 유령(劉伶)의 자이다. 동진(東晉) 때 완적(阮籍), 혜강(嵇康) 등과 함께 죽림칠현(竹林七賢)의 한 사람으로 그는 술을 아주 좋아하여 평소에는 1곡(斛)씩을 마시고 5두(斗)로 해장을 하였다. 《晉書 卷四十九》

유백타【劉白墮】진(晉) 나라 때 술을 잘 만들기로 유명했던 사람이다.

유벽거【油壁車】옛날 부인(婦人)이 타던 수레로서, 벽에 기름칠을 하여 꾸민 수레를 말한다.

유병【幽幷】연조(燕趙)의 땅인 유주(幽州)ㆍ병주(幷州) 지역의 풍속은 기절(氣節)을 숭상하고 유협(游俠)을 장려하였다.

유병계【油餅計】고려 인종(仁宗) 때, 술승(術僧) 묘청(妙淸)은 음양도참설(陰陽圖讖說)로 민심(民心)을 현혹하여 자신이 의도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떡을 크게 만들어서 그 속에 뜨거운 기름을 넣고 구멍을 뚫어 대동강 속에 넣었다가 기름이 차츰 물 위에 떠올라 오색이 영롱하게 되자, 이는 용(龍)이 침을 뱉는 것으로 서기(瑞氣)가 있다는 등 갖은 수단을 부려 태평한 고려를 혼란하게 한 것을 말한다. 《高麗史 妙淸傳》

유보【乳保】유소(幼少)한 아이를 말한다.

유부【楡柎】옛날 황제(黃帝)시대의 명의(名醫).

유부비【幼婦碑】유부비는 곧 삼국지(三國志)에 나오는 ‘황견유부 외손해구(黃絹幼婦外孫虀臼)’에서 따온 말이다. 즉 조아비(曹娥碑) 가운데 이 여덟 글자가 있었다는 것인데, 이것은 바로 ‘절묘호사(絶妙好辭)’ 넉 자를 파자(破字)로 나타낸 것이라 한다.

유부비【幼婦碑】유부의 비문. 기막히게 훌륭한 시문(詩文)을 뜻하는 말이다. 조아(曹娥)의 비(碑)에 ‘황견유부외손제구(黃絹幼婦外孫齏臼)’라는 여덟 글자가 새겨져 있었는데, 조조(曹操)를 수행하던 양수(楊修)가 ‘절묘호사(絶妙好辭)’라고 해석한 고사가 있다. 《世說新語 捷悟》

유부수【劉副守】송(宋)의 명장 유기(劉錡)를 말함. 그가 처음에 동경 부유수(東京副留守)를 지냈었음. 《宋史 卷366》

유분【黝賁】북궁유(北宮黝)와 맹분(孟賁)으로 옛날에 힘과 용기가 대단했던 사람들임.

유분【劉蕡】유분은 당(唐) 나라 때 사람으로 본디 직언을 잘하기로 이름이 높았는데, 일찍이 그의 현량 대책(賢良對策)에서 당시의 환관(宦官)들을 매우 신랄하게 배격했던 결과, 뒤에 환관의 무함에 의해 폄척되어 죽고 말았다. 《唐書 卷一百七十八》

유붕자원방래불역낙호【有朋自遠方來不亦樂乎】벗이 멀리서 찾아주니 또한 즐겁지 아니한가?

 

10/20/30/40/50/60/70/80/90/100/10/20/30/40/50/60/70/80/90

200/10/20/30/40/50/60/70/80/90/300/10/20/30/40/50/60/7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

 

 

www.yetgle.com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