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옛글닷컴ː명언명구/사전

하늘구경  

 

 

 

 

이곽【李郭】당(唐) 나라의 명장 이광필(李光弼)과 곽자의(郭子儀)를 가리킨다. 안사(安史)의 난을 평정한 중흥 제일의 공신들로, 천하의 안위(安危)가 한 몸에 달려 있던 위걸(偉傑)들이다.

이곽선【李郭仙】후한 때의 고사인 이응(李膺)ㆍ곽태(郭太)가 서로 의기가 투합하여 함께 경사(京師)로부터 향리로 돌아갈 적에 단 둘이만 배를 타고 떠나자, 배웅나온 선비들이 모두 그들을 바라보고 신선이라고 했던 데서 온 말이다. 《後漢書 郭太傳》

이곽주【李郭舟】한 나라 때 명사(名士) 이응(李膺)과 곽태(郭泰)가 빈천(貧賤)을 잊고 낙양(洛陽)에서 서로 친하게 지내었는데, 곽태가 고향으로 돌아가기 위해 하수(河水)를 건널 적에 전송하러 나온 자가 아주 많았으나 곽태는 오직 이응하고만 한 배를 타고 건넜다. 두 사람이 한 배를 타고 건너는 것을 보고는 전송나온 사람들이 모두 부러워하면서 두 신선이 한 배를 타고 가는 것 같다고 하였다. 《後漢書 卷68 郭泰傳》

이관규천【以管窺天】대롱을 통해 하늘을 봄. 좁은 소견으로 사물을 살펴 보았자 그 전체의 모습을 파악할 수 없다는 뜻의 고사성어. 우물 안 개구리

이관조몽시【移官早夢尸】진(晉) 나라 때 이극(李克)이, 하늘에서 관(棺) 2개가 자기 앞으로 떨어지는 꿈을 꾸고는 그 사실을 색담(索紞)에게 묻자, 색담이 “관(棺)이란 곧 직(職)이니 틀림없이 누가 그대를 추천해서 벼슬이 승진하게 되겠소.” 하였는데, 뒤에 과연 그렇게 되었다 한다.

이광【李廣】한(漢) 나라 때의 대장군. 이광은 특히 활을 잘 쏘고 용맹이 절륜하여 흉노(匈奴)를 누차 대패시켰으므로, 그가 북평태수(北平太守)로 있을 적에 흉노들이 그를 일러 비장군(飛將軍)이라 부르면서 두려워하였다. 흉노와 대소 70여 차례를 싸워 공을 세웠지만 봉후(封侯)가 되지 못했다. 뒤에 대장군(大將軍) 위청(衛靑)과 흉노를 치다가 길을 잃어 문책당하자 자살하였다. 《漢書 卷五十四》

이광금비한【李廣今飛漢】이광은 한(漢) 나라 성기(成紀) 사람으로 흉노(匈奴)를 공격하여 많은 공을 세우고 북평 태수(北平太守)가 되니, 흉노들이 두려워하여 비장군(飛將軍)이라 불렀다. 《前漢書 卷五十四 李廣傳》

이광미봉【李廣未封】큰 군공(軍功)을 세웠는데도 높은 벼슬에 오르지 못한 것을 비유한 말이다. 한(漢) 나라의 명장 이광(李廣)이 흉노를 격파한 전공(戰功)이 혁혁하였는데도, 끝내 제후에 봉해지지 못했던 ‘이광미봉(李廣未封)’의 고사가 전한다. 《史記 卷109 李將軍列傳》

이광사【李匡師】자는 도보(道甫). 이른바 원교체(圓嶠體)를 남긴 서예.

이광지【李光地】자는 진경(晉卿), 호는 후암(厚菴). 청(淸) 나라 초기의 유명한 성리학자로 문연각 태학사(文淵閣太學士)를 지냈으며, 주역통편(周易通編)ㆍ홍범설(洪範說) 등의 저서를 남겼다.

이괘【頤卦】이(頤)는 양(養)의 뜻이므로 음식을 기대할 수 있는 괘이다. 《易經 頤卦》

이교【二喬】대교(大喬)와 소교(小喬)로, 대교는 손책(孫策)의 아내이고 소교는 주유(周瑜)의 아내이다.

이교서【圯橋書】한(漢) 나라 장량(張良)이 이교(圯橋) 위에서 황석공(黃石公)에게서 받은 책으로, 바로 태공망(太公望)의 병서(兵書)를 가리킨다.

이구【驪駒】이별할 때 부르는 노래. 이가(驪歌).

이구【李覯】이구는 송(宋) 나라 남성(南城) 사람. 자는 태백(泰伯). 언변과 문장에 능하며 학자들은 우강 선생(盱江先生)이라 칭했다. 저서에는, 평례론(平禮論)ㆍ퇴거유고(退居類稿)ㆍ황우속고(皇祐續稿) 등이 있음.

이구【履龜】서서(徐瑞)가 어렸을 때 수재(水災)를 만나서 어느 각(閣)으로 피해 있었는데, 그 각마저 곧 물에 잠기게 되었다. 순간 공중에서 누가 “그는 재상(宰相)감이다. 잘 보호해야 한다.” 외치자 수백 마리의 거북이가 나타나 그 각을 등으로 받쳐 물에 잠기지 않게 했다는 고사이다. 《文苑彙雋》

 

10/20/30/40/50/60/70/80/90/100/10/20/30/40/50/60/70/80/90

200/10/20/30/40/50/60/70/80/90/300/10/20/30/40/50/60/7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

 

 

www.yetgle.com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