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옛글닷컴ː명언명구/사전

하늘구경  

 

 

 

 

오아구부신【敖兒久負薪】오아는 춘추시대 때 초(楚)나라의 명재상 손숙오(孫叔敖)의 아들이란 뜻이다. 손숙오가 죽은 뒤에 그의 아들이 가난하여 떠돌아다니다가 우맹(優孟)이 초 장왕(楚莊王)의 마음을 움직여 벼슬이 주어졌다.

오아목석장【吳兒木石腸】오아(吳兒)는 진(晉) 나라 때 오(吳) 땅의 은사(隱士)인 하통(夏統)을 가리킨다. 일찍이 낙양(洛陽)의 물 위에서 가충(賈充)과 어울려 노닐 적에, 가충이 미녀들을 실은 배를 하통의 배 주위로 세 겹이나 둘러싸게 하였으나, 하통이 여전히 단정하게 앉아 미동(微動)도 하지 않자, “이 오아(吳兒)는 정말 목인(木人)이요 석심(石心)이다.”라고 탄복했다는 고사가 전한다. 《晉書 卷94 隱逸傳 夏統傳》

오아석【吳兒石】중국 진(晉) 나라 때 가충(賈充)이 하통(夏統)을 보고 “이 오 나라 소년은 석인 목장(石人木腸)이다.” 했다. 《晉書 夏統傳》

오아속【烏雅束】오아는 화살인데 50개를 속이라 함.

오아초로【吳兒楚老】강동(江東) 사람이기 때문에 오초(吳楚)라고 말한 것이다.

오아층【五牙層】수(隋) 나라 때 대장군 양소(楊素)가 영안(永安)에 있을 때 큰 군함을 건조하여 ‘오아(五牙)’라 명명하고 그 위에 오층루(五層樓)를 설치한 데서 온 말이다. 《北史 楊素傳》

오악【五嶽】다섯 개의 명산. 우리나라에서는 보통 동쪽의 금강산(金剛山), 서쪽의 묘향산(妙香山), 남쪽의 지리산(智異山), 북쪽의 백두산(白頭山), 중앙의 삼각산(三角山)을 가리킨다.

오악【五惡】순자(荀子) 유좌(宥坐)에도, “5악(惡)에 도절(盜竊)이 참예하지 않는다.” 하였음. 5악은 첫째 심달이험(心達而險), 둘째 행벽이견(行辟而堅), 셋째 언위이변(言僞而辯), 넷째 기추이박(記醜而博), 다섯째 순비이택(順非而澤)으로 되었음.

오악【五岳】오악은 동악 태산(東岳泰山)ㆍ서악 화산(華山)ㆍ남악 형산(衡山)ㆍ북악 항산(恒山)ㆍ중악 숭산(崇山)이다.

오악【五嶽】중국의 다섯 명산으로, 숭산(嵩山)ㆍ태산(泰山)ㆍ화산(華山)ㆍ형산(衡山)ㆍ항산(恒山)을 말한다.

오악사독【五嶽四瀆】다섯 가지 큰 산과 네 가지 큰 물을 가리키는데, 중국에서는 동악(東嶽)인 태산(泰山), 서악(西嶽)인 화산(華山), 남악(南嶽)인 곽산(霍山), 북악(北嶽)인 항산(恒山), 중악(中嶽)인 형산(衡山)을 오악이라 하였으며, 양자강(揚子江), 황하(黃河), 회수(淮水), 제수(濟水)를 사독이라 하였다.

오악유【五岳遊】한(漢) 나라의 고사(高士) 상장(向長)이 자녀들을 모두 결혼시키고 나서 집안일을 완전히 정리한 뒤에 이제는 더 이상 자신의 일에 상관하지 말라[勿復相關]고 분부하고는 마음 내키는 대로 떠돌아다니며 오악(五岳) 등을 유람하다가 생을 마쳤다고 한다. 《高士傳ㆍ後漢書 卷83 逸民列傳 向長》

오악타시종결원【五嶽他時終結願】후한 상자평(向子平)이 건무(建武) 중에 자녀의 혼가(婚嫁)를 끝마치고 오악(五嶽) 명산에 구경나가서 돌아오지 않았음. 《高士傳》

오안【五眼】모든 법의 사리(事理)를 관조하는 5종의 눈. 곧 육안(肉眼)ㆍ천안(天眼)ㆍ혜안(慧眼)ㆍ법안(法眼)ㆍ불안(佛眼).

 

10/20/30/40/50/60/70/80/90/100/10/20/30/40/50/60/70/80/90

200/10/20/30/40/50/60/70/80/90/300/10/20/30/40/50/60/7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

 

 

www.yetgle.com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