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옛글닷컴ː명언명구/사전

하늘구경  

 

 

 

 

인월【寅月】월건(月建)의 지지(地支)가 인이 되는 달.

인의부【仁義府】인의의 부고(府庫).

인인【人人】사람마다, 각자

인인【忍忍】차마 참을 수 없는 모양

인인【咽咽】크고 작은 북소리가 겹쳐서 울리는 소리.

인인성사【因人成事】남의 힘으로 일을 이룸.

인일【人日】1월 7일의 별칭이다. 동방삭(東方朔)의 점서(占書)에 의하면, 1월 1일부터 6일까지 각각 차례로 닭, 개, 양, 돼지, 소, 말을 점치고 나서, 7일에 사람을 점치고 8일에 곡식을 점치는데, 기후가 청명(晴明)하고 온화하면 번식(繁殖)과 안태(安泰)를 미리 알 수 있고, 기후가 음한(陰寒)하고 참렬(慘烈)하면 질병(疾病)과 쇠모(衰耗)를 미리 알 수 있다 하였다. 《事物紀原 天生地植 人日》

인일【寅日】간지로 따져 첫 번째로 맞는 범의 날.

인일【人日】음력 정월 7일을 말한다. 이날 일곱 가지 채소로 국을 끓여먹고, 오색 종이로 깃발ㆍ제비ㆍ나비ㆍ금전 등의 형상을 만들어 머리 위에 꽂는가 하면(이것을 채번(綵幡) 혹은 채승(綵勝)이라고 함), 높은 언덕에 올라가 시를 짓는다고 한다. 《太平御覽 卷976》

인일【人日】정월 7일. 1일은 닭, 2일은 개, 3일은 돼지, 4일은 양, 5일은 소, 6일은 말, 7일은 사람의 날이라 한다. 정월 1일에서 6일까지는 가축을 점치고 7일에 인사(人事)를 점친다고 하는데, 이날 일곱 가지 채소국을 먹고 전채(翦綵)로 머리 장식[花勝]을 만들어 꽂고 다니며 높은 언덕에 올라가 시를 읊는 풍속이 있었다. 《荊楚歲時記》

인자무적【仁者無敵】어진 사람은 적이 없음. 어진 사람은 모든 이를 포용하므로 천하에 적이 없음

인자수【仁者壽】인자(仁者)에게 수명이 따르는 법이다. 논어(論語) 옹야(雍也)에 “知者動 仁者靜 知者樂 仁者壽”라 하였다.

인자약산【仁者樂山】공자는, “인한 자는 산을 좋아하고 지혜로운 자는 물을 좋아한다.”[仁者樂山, 知者樂水] 하였다.

인자옹【人鮓甕】인자옹은 중국 호북성(湖北省) 자귀현(秭歸縣) 서쪽 구당협(瞿塘峽)의 하류 이름으로 장강(長江)의 험난한 물구비 가운데 하나이다. 거기에 이르면 파선이 잘 되므로 그곳을 ‘사람 젓 담그는 독’이라 하였다. 송 나라 때 황정견(黃庭堅)의 희답유문학시(戱答劉文學詩)에 “인자옹 가운데서는 만번 죽을 뻔하였는데 귀문관 밖에는 다시 일천 산봉우리로다[人鮓甕中危萬死 鬼門關外更千岑]”하였다.

인자요산【仁者樂山】어진 사람은 의리에 밝고 중후하여 변하지 않음이 마치 산과 같으므로 산을 좋아함.

인자필수【仁者必壽】어진 사람은 잡념이나 욕심이 적어 항상 편안하고 조용하기 때문에 흔히 장수한다고 함. 논어(論語) 옹야(雍也)에 “지혜로운 자는 즐겁고 어진 자는 장수한다.[知者樂 仁者壽]" 하였음.

인자호반【人字號飯】군에서 지급해 주던 하등급의 밥상. 두부와 염하(鹽蝦) 각각 한 그릇, 밥 한 그릇임.

인작【人爵】“인의(仁義)와 충신(忠信)은 하늘의 벼슬[天爵]이요, 공경(公卿)ㆍ대부(大夫)는 사람의 벼슬[人爵]이다.” 하였다.

인작생천작【人爵生天爵】맹자의 말에, “천작(天爵)이 있고 인작(人爵)이 있으니, 인의충신(仁義忠信)은 천작이요, 공경대부(公卿大夫)는 인작이다. 옛사람은 천작을 닦으면 인작이 따라왔다.” 하였다.

 

10/20/30/40/50/60/70/80/90/100/10/20/30/40/50/60/70/80/90

200/10/20/30/40/50/60/70/80/90/300/10/20/30/40/50/60/7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

 

 

www.yetgle.com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