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옛글닷컴ː명언명구/사전

하늘구경  

 

 

 

 

영영【央央】선명한 모양, 소리가 부드러운 모양

영영【泱泱】흰 구름이 성하게 일어나는 모양

영영【永永】길이길이, 영구히

영영【榮榮】번성하는 모양

영영【營營】악착같이 이익을 추구하는 모양을 뜻한다.

영영일수【盈盈一水】서로 바라다 보이는 거리에서 마음속으로만 생각할 뿐 만나서 말 한마디도 건네지 못하는 안타까운 심정을 가리킨다. 견우(牽牛)와 직녀(織女)를 읊은 고시(古詩) 중에 “찰랑찰랑 은하수물 사이에 두고, 애틋하게 바라볼 뿐 말 한마디 못 건네네.[盈盈一水間 脈脈不得語]”라는 표현이 있는 것에서 비롯된 것이다. 《文選 古詩 十九首》

영영점백【營營點白】시경(詩經) 소아(小雅 靑蠅)에 “앵앵거리며 나는 똥파리가 가까운 곳에 있도다……" 하였는데, 그 주에 “똥파리는 흰 데 똥을 싸면 검은 점으로 나타나고 검은 데는 그 반대로 되므로, 참소 잘하는 간신을 비유한 것이다.” 하였다.

영왕【寧王】수명(受命)한 임금을 말하는데, 즉 천하를 편안하게 한 임금이라는 뜻이다.

영왕【寧王】당 예종(唐睿宗)의 장자요 현종(玄宗)의 형으로, 처음에 황태자(皇太子)가 되었다가 뒤에 영(寧) 땅의 왕(王)으로 봉해졌다.

영왕전리【纓王剸李】항우가 거록(鉅鹿) 싸움에서 진 나라 장수 왕리(王離)를 사로잡고, 그의 숙부 항량(項粱)이 삼천수(三川守) 이유(李由)를 목베어 죽였다.

영왕찬【迎王粲】겸손하여 선비를 중히 여긴다는 뜻이다. 왕찬은 삼국(三國) 시대 위(魏)나라 사람으로 박학 다식한 고사였는데, 채옹(蔡邕)이 그의 재주를 매우 기특하게 여겨 한번은, 왕찬이 채옹의 집을 방문하자 채옹이 그를 맞으러 급히 나오느라 신발을 거꾸로 신고 나왔다는 고사에서 온 말이다. 《三國志 王粲傳》

영우명가창【郢寓名佳唱】굴원(屈原)의 제자인 송옥(宋玉)이 초(楚) 나라의 수도인 영(郢)에서 백설곡(白雪曲)을 불렀는데 너무 그 곡조가 고상하였기 때문에 창화(唱和)한 자가 얼마 안 되었다고 한다.

영운【靈運】영운은 진(晉) 나라 사영운(謝靈運). 남사(南史) 사영운전(謝靈運傳)

영운과【靈運過】옛날 진(晉) 나라 때에 여산(盧山)에 혜원(惠遠)이란 고승이 있었는데, 그 고승을 찾아서 사령운(謝靈運)이라는 시인이 여러 번 찾아갔었다.

영운극【靈運屐】사영운(謝靈運)은 남조(南朝) 때 송(宋) 나라 사람으로 문장과 학식이 뛰어났다. 그는 등산을 좋아하여 언제나 큰 나막신을 신었는데, 산에 오르려면 앞굽을 떼고, 산에서 내려오려면 뒷굽을 떼고 신었다 한다. 《宋書 卷六十七 謝靈運傳》

영운망가【靈運忘家】진(晉) 나라 사람 사영운(謝靈運)을 말하는데, 시문(詩文)에 뛰어난 재주가 있었다. 그는 벼슬길에서 뜻을 얻지 못하고 산수(山水)를 유람하면서 시문을 즐겼는데, 한 번은 원 법사(遠法師)를 만나보고 숙연히 감복된 바가 있어 그 절에 나아가 열반경(涅槃經)을 공부하였다 한다. 《蓮杜 高賢傳》

영운이망가【靈運已忘家】송나라의 사령운(謝靈運)이 불교를 독신(篤信)하였으므로 집에 있으면서도 집을 잊었다는 말이다.

영웅기인【英雄忌人】영웅은 공을 세우기 위해서 남을 시기한다.

영웅호걸【英雄豪傑】영웅과 호걸.

 

10/20/30/40/50/60/70/80/90/100/10/20/30/40/50/60/70/80/90

200/10/20/30/40/50/60/70/80/90/300/10/20/30/40/50/60/7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

 

 

www.yetgle.com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