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옛글닷컴ː명언명구/사전

하늘구경  

 

 

 

 

요학【遼鶴】한(漢) 나라 때 신선술을 닦아 학으로 변해서 고향인 요동(遼東)에 돌아왔다는 정령위(丁令威)를 가리킨다. 그 전설에 의하면, 1천 년 만에 돌아온 것으로 되어 있는데, 간혹 ‘화학삼천세(化鶴三千歲)’라는 표현 등으로 시구에 등장하기도 한다. 정령위가 영허산(靈虛山)에서 도를 닦아 신선이 되었다. 그 뒤 천 년이 지난 뒤에 학이 되어 요동에 돌아와 화표주(華表柱)에 앉아 시를 지었는데, 그 시에, “새여 새여 정령위여, 집 떠난 지 천 년 만에 오늘에야 돌아왔네. 성곽은 의구한데 사람들은 아니로세. 어찌 신선 아니 배워 무덤이 총총하뇨.”라고 하였다. 《搜神後記》

요학기시환【遼鶴幾時還】요학은 학이 되어 요동(遼東) 고향으로 돌아온 정령위(丁令威). 그는 영허산(靈虛山)에서 선수(仙術)을 배웠는데, 뒤에 학으로 변하여 요동의 아문(衙門) 기둥에 앉았다 한다. 《搜神後記》

요합【姚合】당(唐) 나라 시인. 요합은 요소감(姚小監) 또는 요무공(姚武功)으로 더 잘 알려져 있다.

요해【遼海】요동 반도(遼東半島)의 서해를 가리킨다.

요해이가【遼海移家】요해는 요동의 해변. 북해(北海) 주허(朱虛) 사람인 관녕(管寧)이 후한(後漢) 말 어지러운 세상을 피해 요동으로 가서 37년 동안 문도들을 모아 글을 가르치며 살았다.

요행【徼幸】운좋다, 다행이다

요행장원【僥倖壯元】중종 12년 정축문과(丁丑文科)에서 허관(許寬)이 예전 사람이 지은 문장을 훔쳐서 한 구절도 고치지 않고 베꼈는데도 장원이 되자 사람들이 기롱하여 부른 말.

요현【么絃】육기(陸機)의 문부(文賦)에 “絃么而徽急" 이 있고, 주석에 설문해자(說文解字)의 “么 小也" 를 인용하였음.

요협【瑤莢】명협. 요 임금 때 있었다는 상서로운 풀 이름. 매월 초하루부터 잎 하나씩 돋아나 보름이 되면 열 다섯 잎이 나오고 16일부터는 다시 하나씩 떨어져 그것으로 날짜를 계산하였다 하여 책력의 별칭으로 쓰인다.

요형【遼夐】멀고 아득하다

요화【瑤華】신마의 옥 같은 꽃.

요확【寥廓】넓고 큰 모양. 광원. 텅 비다, 허전하다

요환유이【瑤環瑜珥】형제가 훌륭함을 말한다. 창려집(昌黎集) 전중소감마군묘지(殿中小監馬君墓誌)에 “여자 스승이 어린아이를 안았는데, 예쁘고 빼어남이 아름다운 구슬과 같다.” 하였다.

요황【姚黃】모란화(牡丹花). 아름다운 모란꽃의 종명(種名)이다.

요황【要荒】요복(要服)과 황복(荒服)의 합칭으로, 서울에서 멀리 떨어진 변두리 지방을 말한다.

요황위자【姚黃魏紫】구양수(歐陽脩) 목단보(牡丹譜)에 “전사(錢思)가 말하기를 ‘사람들이 모란(牡丹)은 꽃 중의 왕이다.’ 하지만, 지금 요씨(姚氏)의 집에 있는 노랑꽃[姚黃]은 참으로 꽃 중의 왕이라 할 만하고 위씨(魏氏)의 집에 있는 자주꽃[魏紫]은 왕후라 할 만하다.’ 하였다.” 했다.

요황위자【姚黃魏紫】두 종류의 진기한 모란꽃인데, 요황은 송(宋) 나라 때 요씨(姚氏) 성을 가진 사람의 집에서 재배한 천엽황화(千葉黃花)이고 위자는 오대(五代) 때 위인보(魏仁溥)의 집에서 재배한 천엽홍화(千葉紅花)이다. 일반적으로 상품의 모란꽃에 비유한다.

요황위자【姚黃魏紫】모란의 이름임. 구양수(歐陽脩)의 모란기(牧丹記)에 “요황은 천엽황모란(千葉黃牧丹)인데 민간의 요씨의 집에서 나온 것이고, 위자는 천엽육홍화(千葉肉紅花)인데 위상(魏相) 인보(仁溥)의 집에서 나온 것이다.” 하였음.

요황위자【姚黃魏紫】송대(宋代) 구양수(歐陽脩)의 ‘낙양모란기(洛陽牡丹記)’에 “서민인 요씨(姚氏)의 집 모란은 일천 개 이파리에 노란 꽃[千葉黃花]이 피고 위상 인부(魏相仁溥)의 집 모란은 일천 개 이파리에 붉은 꽃[千葉紅花]이 피는데, 이것이 바로 유명한 요황 위자(姚黃魏紫)이다.”라는 말이 나온다.

요황화【姚黃花】요황화는 낙양(洛陽) 요씨(姚氏)의 집에서 난 명화(名花)인 황모란(黃牡丹)을 말함. 송(宋) 나라 때 정승이적(李迪)이 처음으로 이 요황화를 임금께 바쳤다 하여, 소식(蘇軾)의 시에 “낙양의 상군은 충효가문 사람이라. 또한 요황화를 바친 것이 어여쁘도다[洛陽相君忠孝家 可憐亦進姚黃花].” 하였다.

요휘【瑤徽】거문고를 말하는데, 요주(瑤柱)에 줄[徽]을 매었다는 말이다.

 

10/20/30/40/50/60/70/80/90/100/10/20/30/40/50/60/70/80/90

200/10/20/30/40/50/60/70/80/90/300/10/20/30/40/50/60/7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

 

 

www.yetgle.com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