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옛글닷컴ː명언명구/사전

하늘구경  

 

 

 

 

이형【李衡】이형은 오(吳) 나라 양양(襄陽) 사람인데, 그가 단양 태수(丹陽太守)로 있을 적에 감귤(柑橘) 1천 그루를 심었다.

이형거인천류창【羸形去認泉流漲】두목(杜牧)이 국기(國棋)인 왕봉(王逢)을 전별한 시에 “엉성한 형체는 남몰래 봄 샘이 흐르듯 한다.” 한 구절을 인용한 것인데, 이는 곧 바둑을 처음 놓을 때의 형체를 묘사한 것이다.

이혜【夷惠】백이(伯夷)와 유하혜(柳下惠). 맹자(孟子)가 말하기를, “백이는 성(聖)의 청(淸)한 자이고, 유하혜는 성(聖)의 화(和)한 자이다.” 하였음. 《孟子 萬章下》

이혜간【夷惠間】이혜는 백이(伯夷)와 유하혜(柳下惠)의 병칭(倂稱)인데, 맹자(孟子)가 이르기를, “백이는 청(淸)하기로 성인(聖人)이고, 유하혜는 화(和)하기로 성인이었다.” 하였다. 《孟子 萬章下》

이호【二豪】두 호걸. 귀개공자(貴介公子)와 진신처사(縉紳處士)를 말한다. 유백륜(劉伯倫)의 주덕송(酒德頌)에 “옆에 있는 두 호걸을 마치 작은 벌레같이 본다.” 하였다.

이호미【履虎尾】주역(周易) 이괘(履卦) 육삼효(六三爻)에 “호랑이 꼬리를 밟아 호랑이에게 물리니 흉하다.[履虎尾 咥人 凶]”는 말이 나온다.

이호민【李好閔】자는 효언(孝彦)이고 호는 오봉(五峯)이다.

이호시측유명령【二豪侍側猶螟蛉】진(晉) 나라 유령(劉伶)의 ‘주덕송(酒德頌)’에 “술 취한 대인 선생(大人先生) 옆에 두 호걸이 모시고 섰는데, 그 모습이 마치 나나니벌[蜾蠃]과 배추벌레[螟蛉] 같았다.”는 말이 있다.

이홍【泥鴻】본디 돌아가는 기러기가 다시 올 때의 목표로 눈 녹은 진흙 위에 남겨둔 발자국이, 다시 돌아올 때에는 형적이 없어 찾을 길이 없게 된다는 설니홍조(雪泥鴻瓜)에서 온 말로, 과거의 사적이 흔적도 남지 않고 없어짐을 비유한 말이다. 분류동파시(分類東坡詩) 권16 화자유민지회구(和子由澠池懷舊)의 “인생살이 가는 곳은 알괘라 어떠한고, 눈녹은 물을 밟은 기러기와 흡사하리. 눈 위에 우연하게 발자국을 남긴 뒤에, 기러기 날아가면 동서쪽을 어찌 알리[人生到處知何似 應似飛鴻踏雪泥 泥上偶然留指爪 鴻飛那復計東西].”에서 나온 말이다.

이홍반【二紅飯】원래 대맥(大麥)과 소홍두(小紅豆)를 섞어서 지은 밥을 말한다.

이홍유적【泥鴻遺跡】분류동파시(分類東坡詩) 권16 화자유민지회구(和子由澠池懷舊)의 “인생살이 이르는 곳 무엇과 비슷한고 나는 기럭 눈 진펄 밟는 것과 같으리니 진펄 위에 우연히 발톱자국 남긴 뒤에 기럭 날아가버리면 동서를 어찌 분간하리[人生到處知何似 應似飛鴻踏雪泥 泥上偶然留指瓜 鴻飛那復計東西].”에서 나온 것으로, 현재 함께 어울려 즐기는 일이 나중에 허무하게 흔적만 남을 것이라는 것이다.

이화【籬花】국화꽃을 말한다. 도연명(陶淵明)의 시 ‘음주(飮酒)’ 에 “동쪽 울 아래에서 국화꽃을 따다가, 유연히 남산을 바라보노라.[採菊東籬下 悠然見南山]”라는 명구(名句)가 있다. 《陶淵明集 卷3》

이화감【離和坎】불과 물. 양생(養生)의 요체(要諦)는 수화(水火), 음양(陰陽)의 배합에 있다.

이화노제【里化魯齊】고을이 학덕에 감화되어 강태공(姜太公)의 제(齊) 나라와 주공(周公)의 노(魯) 나라처럼 풍속이 아름답게 되었다는 것임. 논어(論語) 雍也에 “제 나라가 한번 변하면 노 나라 경지에 이르고 노 나라가 한번 변하면 도(道)에 이를 것이다.[齊一變 至於魯 魯一變 至於道]" 라고 하였음.

이화무【梨花舞】이화는 옛날 창법(槍法)의 한 가지이다. 삼재도회(三才圖會) 기용(器用) 이화창식(梨花槍式)에 “송(宋) 나라 이전(李全)이 이 법을 활용하여 산동에서 영웅노릇을 했다.”는 말이 있다.

 

10/20/30/40/50/60/70/80/90/100/10/20/30/40/50/60/70/80/90

200/10/20/30/40/50/60/70/80/90/300/10/20/30/40/50/60/7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

 

 

www.yetgle.com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